청명(淸明)과 한식(寒食)은 모두 음력 24절기 중 하나이며, 주로 봄에 해당하는 중요한 절기입니다.
1. 청명(淸明)
- 뜻: "하늘이 맑고 밝다"는 의미로, 날씨가 온화해지고 하늘이 깨끗해지는 시기입니다.
- 날짜: 태양 황경이 15도에 도달하는 날로, 양력 4월 4일~5일경에 해당합니다.
- 풍습:
- 본격적인 농사 준비를 시작하는 시기
- 조상의 묘를 찾아 성묘하는 풍습이 있음 (하지만 한국에서는 한식과 함께 성묘를 많이 함)
2. 한식(寒食)
- 뜻: "찬 음식을 먹는 날"이라는 뜻으로, 불을 피우지 않고 미리 준비한 음식을 먹는 전통에서 유래했습니다.
- 날짜: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로, 양력 4월 5일~6일경에 해당합니다.
- 풍습:
- 조상의 묘를 돌보는 성묘 및 벌초 풍습
- 예전에는 불을 피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전통이 있었으나, 현재는 거의 사라짐
한국에서는 청명과 한식이 날짜상 가까워 한식에 성묘를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한식(寒食)에는 전통적으로 불을 사용하지 않고 미리 준비한 찬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었습니다.
한식에 먹는 음식
- 화전(花煎) 🌸
- 진달래 꽃을 올려 만든 전병
- 쌀가루 반죽을 둥글게 빚어 부치고 꿀이나 조청을 찍어 먹음
- 쑥떡 & 찹쌀떡 🍡
- 한식 무렵에 나는 봄나물(쑥)을 이용해 만든 떡
- 불을 피우지 않으면서도 미리 만들어 두기 좋은 음식
- 식혜 & 감주 🍶
- 밥을 삭혀 만든 전통 음료로, 한식에 따뜻한 불 없이도 먹을 수 있는 음료
- 달콤하고 소화에 좋음
- 나물 요리 🥗
- 봄철에 많이 나는 냉이, 달래, 돌나물, 취나물 등을 무쳐서 먹음
- 한식이 봄과 맞물려 있어, 제철 나물을 많이 활용
- 개피떡 🍘
- 팥소를 넣어 만든 떡으로, 한식과 청명 때 자주 먹음
과거에는 불을 피우지 않는 음식이 중요했지만, 요즘은 한식이 성묘와 연결되면서 떡, 나물, 전, 고기 음식 등 차례 음식과 비슷한 것들도 함께 먹는 경우가 많아요!